https://edition.cnn.com/markets/fear-and-greed1. Fear & Greed Index 란?공포와 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는 주식 시장의 움직임과 주식의 가격이 공정한지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과도한 공포는 주가를 하락시키는 경향이 있고, 지나친 탐욕은 그 반대의 효과를 가져온다는 논리를 기반으로 함공포와 탐욕 지수는 주식 시장 행동의 일부 측면을 측정하는 7가지 지표를 종합한 것 시장 모멘텀(Market Momentum) : S&P 500의 125일 이동평균 주가 강세(Stock Price Strength) :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52주 신고가 종목수) / (52주 신저가 종목수) 주가 폭(Stock Price Breadth) : McClel..
[출처] https://www.wallstreetprep.com/knowledge/valuation-multiples/ Valuation Multiples Valuation Multiples are financial ratios that reflect the implied value of a company relative to an operating metric to perform comps analysis. www.wallstreetprep.com 1. 가치평가 배수(Valuation Multiples)이란 무엇인가? 가치 배수이란 특정 운영 지표(operating metric)에 따른 기업의 내재 가치를 반영하는 비율이다. 표준화된 재무지표인 가치 배수를 사용하면 규모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유사 기..
관련 글 목록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1) 유대인 전략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2) 60/40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3) 영구포트폴리오 1.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해리 브라운(Harry Browne)이 만든 자산배분 전략인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해리 브라운은 미국의 작가이자 정치인이자 투자 자문가로, 그의 저서 에 영구 포트폴리오의 개념이 제시되어 있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주식, 채권, 금, 현금(또는 단기국채(treasury bill))에 동일 비중으로 자산을 배분하는 전략으로, 어떤 경제상황에서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Investopedia에서 영구 포트폴리오의 정의에 관해..
관련 글 목록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1) 유대인 전략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2) 60/40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3) 영구포트폴리오 1.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자산배분전략의 벤치마크로 주로 활용되는 60/40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려고 한다. 60/40 포트폴리오는 자산의 60%를 주식에 나머지 40%를 채권에 배분하는 전략이다. 이전 글에서 다루었던 유대인 전략은 자산을 3등분하는 동일가중 포트폴리오 전략이었지만 이 전략은 자산군간 비중을 다르게 가져가는 포트폴리오 전략이다. 이번 글에서는 60/40 포트폴리오의 백테스팅 결과를 살펴보고, 주식:채권 비중을 다르게 가져갔을 때 성과 지표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보려고 한다. 2. 60/40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거인..
관련 글 목록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1) 유대인 전략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2) 60/40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정적자산배분 - (3) 영구포트폴리오 1. 들어가며 import yfinance as yf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from matplotlib import pyplot as plt IPython_default = plt.rcParams.copy() import matplotlib.dates as mdates plt.style.use('tableau-colorblind10') df_SPY = yf.Ticker('SPY').history('max', auto_adjust=True) historical_high_date = df_SP..
1. 들어가며 이전 글에서는 경기침체(Recession)의 정의와 경기침체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들을 살펴보았다. https://psystat.tistory.com/164 FRED 데이터로 경기침체(recession) 예측하기 - (1) 데이터 탐색 1. 잘 모르겠고, 아무튼 경기침체 때문이야 요즘 나오는 뉴스 제목을 보면 "경기침체 우려에 ~ 폭락" 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사실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뭐라도 둘러대기는 해야 하니까 자꾸 psystat.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 살펴본 지표들을 이용하여 경기침체 예측 모델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먼저 FRED 데이터를 가져온 후, 각 변수들과 타겟 변수인 경기침체 여부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타겟 변수를 재..
1. 잘 모르겠고, 아무튼 경기침체 때문이야 요즘 나오는 뉴스 제목을 보면 "경기침체 우려에 ~ 폭락" 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사실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뭐라도 둘러대기는 해야 하니까 자꾸 "경기침체"라는 말을 가져오는 걸로 보이긴 한다. 사실 코로나가 터지기 전에도 경기침체가 온다는 뉴스가 한창 유행이었다. 2. 경기침체가 뭐지? 일단 경기침체(recession)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 같다. 일단 위키피디아에서 recession의 정의를 찾아보자. (1) In a 1974 The New York Times article, Commissioner of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Julius Shiskin suggested several rules of thumb fo..
이 글의 내용은 강환국님의 할수 있다! 퀀트 투자 p.186~p.190 망하지 않을 기업 고르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백테스팅 툴은 올라떼(Allatte)를 이용하였습니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망하지 않을 기업을 고르기 위한 조건으로 부채비율 50% 이하를 제안했다고 한다. 부채비율은 (총부채/자기자본)으로 계산된다..기업의 자기자본이 총자산의 2/3일 경우 부채비율은(1/3)/(2/3)= 50%가 된다. [전략1] 그레이엄의 마지막 선물 매수전략 - PER 10이하 - 부채비율 50% 이하인 기업을 20~30개 매수 매도전략 - 50% 이익을 실현하면 매도 - 50% 이익을 실현 못 할 경우 매수 후 2년이 지나면 매도 [전략2] 그레이엄의 마지막 선물 업그레이드 매수전략 - ROA가 5%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